본문 바로가기

참여공간
공지사항

공지사항

제목, 작성자, 등록일, 조회,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게시글입니다.
희망을 잇는 따뜻한 복지안전망 구축 ‘착착’
  • 작성자전주시 돌봄통합정보센터
  • 등록일2024-08-19
  • 조회수60

희망을 잇는 따뜻한 복지안전망 구축 ‘착착’ 


- 시, 올해 아동부터 노인까지 일상에서 누리는 복지정책 추진 위해 행정력 집중 

- 소외되는 취약계층이 없도록 촘촘하고 튼실한 복지정책 전개하며 복지안전망 구축



○ 전주시는 올해 모든 시민이 일상에서 복지혜택을 누리며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따뜻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.



○ 대표적으로 시는 행정안전부의 디지털타운조성 공모사업에 선정돼 네이버클라우드와 협력해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‘초거대 인공지능(AI)’ 활용 상담서비스‘를 도입했다. 지난 1월 2개 동 시범 운영으로 시작된 이 서비스는 안전성이 확보된 지난 6월부터는 전주시 35개 모든 동으로 확대돼 위기상황 발견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구축됐다.



○ 또한 시는 어려운 이웃을 발견·신고해 복지대상자로 선정되면 건당 5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복지사각지대 ‘위기가구 신고 포상금’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.



○ 여기에 시는 그동안 등록장애인과 65세 이상 노인들에게만 제공되던 전동보조기기(스쿠터, 휠체어) 배상책임 보험 대상자를 지난 4월부터는 모든 시민으로 확대했다. 앞서 시는 지난 2020년 전국 최초로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전동보조기기 보험에 가입한 바 있다.



○ 이와 함께 시는 취약계층이 일상에서 겪는 불편을 신속하게 해소하고,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월 35개 동 243명의 기동대원을 구성, 전주형 ‘신바람 복지기동대’도 운영하고 있다. 신바람 복지기동대는 △소액 긴급수리(전등 교체, 콘센트 교체 등) △주거환경 정비(청소, 도배, 장판 등) △안전 점검(노후주택 전기, 가스 점검) 등 일상생활의 불편사항을 해소하고, 생계 유지가 어려운 위기가구의 생활 안정을 위해 복지자원을 지원·연계하고 있다.



○ 노인복지 분야의 경우, 시는 노인세대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지난해보다 1100여 명이 증가한 1만4197명 규모의 2024년도 노인 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. 시는 또 보건복지부의 ‘노인 의료-돌봄 시범사업’ 공모에 선정돼 지난해 7월부터 돌봄 수요가 높은 75세 이상 고위험 돌봄 노인을 대상으로 의료·요양·생활지원·주거 등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다. 



○ 뿐만 아니라, 시는 장애인 공적 돌봄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가족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 제공기관 5개소를 추가 지정했으며,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수행기관 2개소를 신규 선정하기도 했다. 



○ 이로써 총 18개 기관이 장애인활동보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, 이달부터는 자해나 타해 등 도전 행동으로 기존의 사회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웠던 18세 이상 65세 미만 지적·자폐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도 제공된다.



○ 여성·가족 분야의 경우 시는 여성 재도전 사관학교 등을 통해 경력단절여성의 성공적인 창업 유도 및 경제활동 촉진에 힘쓰고 있으며,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및 품앗이 공동체 활동을 통해 함께하는 자녀 돌봄으로 양육 부담을 줄여나가고 있다. 현재 전주시 공동육아나눔터는 올해 신설된 2곳(덕진점, 노송점)을 포함한 총 6곳이 운영되고 있다.



○ 끝으로 시는 출산율 상승 및 아동의 복리증진을 위해 안전한 돌봄 환경 조성과 촘촘한 아동돌봄체계구축·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.



○ 구체적으로 시는 출생아에게 200만 원씩 지급하던 첫만남이용권 사업의 지원 혜택을 올해부터는 둘째아 이상 출생아에게는 300만 원을 지급하고, 사용기간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했다. 또, △돌봄시설의 연장 운영 확대, 24시간어린이집(교동원광어린이집) 지정·운영 △주말·공휴일 보육 하나돌봄어린이집 운영 등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보육환경 조성에도 힘쓰고 있으며, 방과 후 돌봄센터도 꾸준히 확충해나가고 있다.



○ 이외에도 시는 저출산과 인구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다자녀 정책 발굴 간담회를 꾸준히 개최하고 있으며, 이를 토대로 향후 다자녀 가정에게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·추진할 계획이다. 



○ 김용삼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“시민 생활의 근간이 되는 복지분야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튼실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하겠다”면서 “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게 꼭 필요한 따뜻한 복지정책을 추진하고, 모든 시민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고 말했다.


<자료제공부서 및 문의처 : 전주시청 생활복지과 063-281-2439> 

첨부파일